삼치는 손질된 것으로 사 오더라도 한 번 깨끗하게 씻어주는게 좋아요.
이때 그냥 물보다 쌀뜨물에 10분 정도 담가두면 비린내가 훨씬 잡혀요.
이 과정만 잘해도 조림 맛이 훨씬 깔끔해진답니다.
담가두었다가 건져서 물기를 톡톡 제거해 주세요.
무는 1~1.5cm 두께로 도톰하게 썰어주세요.
너무 얇으면 오래 조릴 때 부서지고,
너무 두꺼우면 양념이 덜 배어요.
대파와 고추는 어슷 썰어 고명으로 준비해 주세요.
양념장은 미리 만들어두어야 더 골고루 조림에 스며들어요.
고춧가루, 진간장, 마늘, 생강가루, 맛술, 설탕(또는 올리고당), 후춧가루를 한 번에 넣고 잘 섞어주세요.
양념의 단맛은 기호에 따라 조절하시고,
생강가루는 생선 비린내를 잡아주는 역할이니 빠뜨리지 않는 걸 추천드려요.
냄비 바닥에 도톰하게 썬 무를 깔고 쌀뜨물 또는 물 400ml를 부어주세요..
여기에 만들어둔 양념장 절반만 먼저 넣고 센 불에서 끓여주세요.
끓기 시작하면 중약불로 줄이고 10~15분 정도 무를 먼저 푹 익혀요.
무가 반투명해지고 젓가락이 쏙 들어가는 정도가 되면 딱 좋아요.
이 과정을 충분히 해줘야 무가 양념을 깊게 먹고 달큰한 맛이 살아나요.
무가 잘 익으면 그 위에 삼치를 가지런히 올려주세요.
그리고 남은 양념장을 삼치 위에 골고루 발라 센 불에서 다시 한번 끓여 주세요
끓어오르면 불을 중약불로 줄이고 약 10분 정도 더 조려주세요.
이때 국물을 중간중간 삼치 위에 끼얹어주면 생선 살이 더 촉촉하게 익어요..
조림이 너무 빠르게 졸아든다 싶으면 물 50ml 정도만 살짝 보충해 주세요.
국물이 자작하게 졸아들면 마지막으로 대파와 고추를 넣고 1~2분만 더 끓여 마무리!
칼칼한 고추 향이 올라오면서 감칠맛까지 더해져요.
삼치는 부드럽고 비린내 없이 깔끔하게 익었고,
무는 달큰하면서 양념이 촥 스며들어 한 조각만 먹어도 깊은 맛이 느껴져요.
자작하게 졸아든 국물에 삼치 한 점, 무 한 조각 올려 먹으면
진짜 밥도둑이 따로 없답니다.
생강가루 대체재 추천
다진 생강 1작은술 + 후추 약간
→ 생강가루 없을 때도 삼치비린내 확 잡히고 맛도 깔끔하게 나와요.
생강청 1~1.5작은술
단맛이 있으니 설탕·올리고당 약간 줄이면 좋아요.
개별회신을 원하시면 여기에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