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시피 등록을 위해서는 지금 사용하고 있는 브라우저 버전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다른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됩니다.
아래의 브라우저 사진을 클릭하여 업그레이드 하세요.
카메라로 QR 찍고 핸드폰에서 레시피 보기
52
심플민
맑은 소고기무국 끓이는 법 / 볶지 않는 시원한 뭇국 레시피
국물이 맑고 시원하면서 진한 소고기뭇국입니다. 만들기 쉬우면서도 깔끔한 국물색과 맛을 내는 것이 어렵기도 한데요. 오늘 이 레시피로 끓여보시면 고기가 들어갔지만 무의 시원함과 깔끔함을 기본으로 소고기의 진한 맛은 가득하게 끓여 낼 수 있답니다. 보통 뭇국을 끓인다고 생각하면 기름에 달달 볶는 방법이 보편적이긴 한데요. 저도 나박 썰기 한 무를 반투명하게 고기와 달달 볶아낸 뒤 물을 넣고 푹 끓여 내는 레시피도 종종 활용하곤 했는데 맑은 국물이 개운하고 뒷맛도 깔끔하면서 고기의 불순물도 없이 끓여 낼 수 있어 오늘 소개하는 개운한 뭇국으로 주로 끓여주고 있어요. 고기는 양지, 목심, 사태 등 다양한 부위로 활용해도 되는데요. 국거리용으로 적당한 부위 혼합해서 판매하는 한우 구입했어요. 고기와 무는 동일한 양으로 각각 300g 준비하여 소고기의 진한 맛과 무의 시원한 맛을 살려 끓여냅니다. 핏기를 깔끔하게 제거해야 불순물을 최소화하고 잡내 없이 국물요리 만들 수 있는데요. 핏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찬물에 10분가량 담가낸 뒤 물기를 꾹꾹 흡수시켜주는 방법도 있는데 오늘의 볶지 않는 뭇국의 포인트는 고.기를 먼저 팔팔 끓는 물에 15초가량 짧게 데쳐낸 뒤 활용하는 것이랍니다. 이렇게 작업 후 물에 소고기, 무 기본으로 끓여준 뒤 국간장과 참치액 등 분량의 양념 재료 넣고 짧게 끓여 주면 뚝딱 완성입니다. 여기에 두부 송송 썰어주면 이게 바로 제사 탕국이 되는 거고요. ^^ 맵지 않고 맑은 국물 레시피인지라 어린아이들을 위한 국메뉴로도 좋은 온 가족 먹기 좋은 국물요리로 소고기뭇국 끓이는 법 차근차근 소개해 드립니다.
메인 재료인 무부터 시원한 국물 맛을 내주는 대파 그리고 선택사항으로 국물의 감칠맛을 더해주는 표고버섯 두 개 준비했어요. 무는 떠먹기 좋은 사이즈로 나박 썰기 해주는데요. 너무 얇게 썰어도 부서지기에 0.5cm 정도의 폭으로 썹니다. 파는 송송, 버섯은 밑동 부분을 자르고 얇게 썰어냅니다.
국간장 1큰술 참치액 1.5큰술 다진마늘 1큰술 미림 1큰술 위 분량의 재료를 넣어 2~3분가량 한 번 더 짧게 끓여주세요.
거의 마무리 단계로 파와 버섯 넣어줍니다.
취향껏 후추도 넣어주고요. 간을 보고 취향에 따라 부족한 간은 소금 소량으로 맞춰 마무리합니다. 저는 딱 맞아 추가로 소금은 더하지 않고 남편이 좋아하는 후추를 많이 갈아 넣어 완성했습니다. ^^ 장마철이 시작되면서 흐리고 비가 오는 날엔 이렇게 국 요리가 생각나곤 해요. 보글보글 끓여 내는 진한 찌개도 좋지만 깔끔하고 개운한 메인 국요리가 생각날 때 딱 좋은 고깃국입니다. 잡내 없고 불순물도 거의 없어 맑은 국으로 밥 말아먹기에도 부담 없고요. 여기에 김치류 하나만 꺼내도 한 그릇 뚝딱 국밥 메뉴로 즐길 수 있다는 사실. ^^ 주말 비 예보가 있는데요. 이런 날씨 딱 어울리는 메뉴로 맛있게 만들어 뜨끈하게 즐겨보세요.
개별회신을 원하시면 여기에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