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ger Script

카메라로 QR 찍고
핸드폰에서
레시피 보기

0
main thumb
해볼래집밥

명절 남은 전은 꼭 싸와서 칼칼한 전찌개 만들어 드세요

명절이 끝나면 냉장고 속에 전이 꼭 남습니다. 갓 구웠을땐 맛있는데 냉장고 들어가 데워먹으면 맛도 떨어지고 어느새 질려서 안먹고 방치됩니다. 아까운 전들 버리거나 억지로 드시지 말고 전찌개 끓여드세요.

얼큰한 국물에 전의 고소한 맛이 녹아들어 느끼한 명절음식들 속에서 아주 별미입니다.



이 전찌개는 청양고춧가루로 칼칼하게, 멸치디포리 코인육수로 간편하게 깊은 맛을 더했습니다. 명절 기름기 많은 전도 육수 덕분에 깔끔하게 잡히고, 참치액 + 국간장 + 멸치액젓의 황금비율로 감칠맛을 극대화했습니다.
2인분 20분 이내 아무나
[재료]
물 600 ml , 청양 고춧가루 1 큰술 , 멸치 디포리 코인육수 2 알 , 참치액 1 큰술 , 국간장 1 큰술 , 멸치액젓 0.5 큰술 , 미원 두꼬집 또는 원당 반 큰술 , 양파 반 개 , 대파 반 대 , 다진마늘 1 큰술 , 남은 전들

동영상

조리순서Steps
이미지크게보기 텍스트만보기 이미지작게보기
먼저 냄비에 물 400ml를 붓고 멸치디포리 코인육수 2알을 넣어 주십시오.
양파 반 개, 청양 고춧가루 1큰술을 넣어주십시오.
참치액 1큰술, 국간장 0.5큰술,
그리고 미원 두 꼬집(또는 원당 반큰술). 다진 마늘 한 큰술 넣어주십시오.
대파 반대와 멸치액젓 0.5큰술 넣어주십시오.
남은 전들 한 입 크기로 썰어서 예쁘게 넣어주십시오.
전의 종류가 다양할수록 국물 맛이 풍성해집니다. 부추전과 육전 종류는 꼭 들어가야 맛있습니다.
두부전이 없으시면 두부 추가 하셔도 좋습니다

센불

바글바글 끓으면 남은 물 200ml 을 더 넣고 원하는 농도가 나올때 까지 약불에서 10분 정도 끓여 전의 맛이 국물에 스며들도록 하면 완성입니다.

약불

졸이는걸 전 전문점 처럼 버너위에 올려 드시면서 천천히 조려 먹어도 좋습니다.
팁-주의사항
처음에 물을 600ml 다 넣으면 전이 둥둥 떠다녀 예쁘게 세팅이 안됩니다.
상관없으시면 다 넣고 한번에 다 넣으시면 됩니다.
한 번 끓였다가 식혔다가 다시 데워 먹으면 맛이 더 진해집니다.
이 레시피는 명절 후 입맛 없을 때 딱 좋은 칼칼한 해장용 메뉴로도 추천드립니다.

등록일 : 2025-10-11 수정일 : 2025-10-11

저작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이미지 및 문구의 무단 도용 및 복제를 금합니다.
레시피 작성자About the writer

해볼래집밥

간단하게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집밥 레시피를 소개합니다.

댓글 0
파일첨부
브레드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계란토스트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브라우니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칼국수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닭갈비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콩나물불고기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프렌치토스트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김치찌개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로제파스타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두부샐러드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최근 본 레시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