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이 잘 볶아졌다면 이제 해물을 넣어 줍니다.
새우, 쭈꾸미, 키조개관자를 넣어서 중불에서 볶아 줍니다
향신료와 간을 해 줍니다.
후추, 바질가루, 마늘허브소금을 넣어서 잘 섞어가면서 볶아 줍니다.
키조개관자가 커서 반으로 잘라 주었습니다.
해물오일파스타의 소스는 완성되었습니다.
냉동해산물을 해동하지 않는 이유는 해동하면 해산물의 진짜 해수가 빠져 나오게 되는 듯 싶습니다.
그래서 냉동된 상태 그대로 사용해서 볶으면 그 육수가 나오고
거기에 따로 육수재료를 넣을 필요가 없는 것 같았습니다.
보통 닭육수나 조개육수를 사용하는데,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해물찜의 경우는 낙지를 살짝 데쳐주고 해물도 살짝 데쳐 주거나
해동시키는데, 파스타에는 육수가 필요해서 그대로 사용하고
짬뽕이나 짜장도 그대로 사용합니다.
이번 해물오일파스타에 사용하는 파스타는 파팔레입니다.
리본모양의 파스타입니다. 삼색으로 된 것을 구입했습니다.
팔팔 끓은 물에 파팔레를 넣어 주고 소금도 넣어 줍니다.
삶아 줍니다. 파스타가 익을때까지 기다립니다.
불은 센불입니다. 파팔레는 일반적인 스파게티보다 좀더 삶는 시간이 걸립니다.
잘 익은 파스타 파팔레를 만들어 놓았던 해물파스타소스에 넣어 줍니다.
함께 면수도 넣어 줍니다. 그리고 함께 볶아 줍니다.
잘 볶아지면서 면수로 인해서 진득한 느낌이 나는
해물오일파스타가 완성됩니다.
완성그릇에 담아 줍니다. 해물도 듬뿍 올려 줍니다.
그런 다음에 마지막으로 파슬리가루가 아닌
치커리를 잘게 잘게 썰어서 위에 올려 줍니다.
우리의 씁쓸한 허브입니다.
상큼한 신선한 야채와 함께 먹는 해물오일파스타완성입니다.
파슬리의 향이 풍부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씁쓸한 맛도 있습니다.
바질도 마찬가지고요. 야채는 뒷맛이 씁쓸한 맛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허브도 잘 활용하면 충분히 맛있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별회신을 원하시면 여기에 문의하세요.